Runketer

검색-등록

검색 등록, 왜 많이 하면 좋을까요? 서비스와 연관된 타겟 고객의 유입이 늘어날수록 전환율 역시 함께 높아집니다.

서비스와 제품이 더 많이 노출될수록 홍보 기회도 자연스럽게 커지기 때문이죠.

‘그래봤자 얼마나 되겠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각 검색엔진에서 유입되는 고객 수를 합치면 적지 않습니다. 전환율도 기대 이상으로 쏠쏠합니다.

궁금하시다면 아래 내용을 따라 직접 경험해 보세요. 

이번 글에서는 세계 검색 엔진 점유율 1위 구글, 국내 점유율 1위 네이버, 그리고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 검색 등록 방법을 차례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구글 검색 등록 방법

구글

구글 검색 등록은 구글 서치 콘솔 사이트에서 진행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은 웹사이트를 구글에 공식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무료 도구입니다.

구글이 내 페이지를 더 빠르고 정확하게 색인하도록 지원해, 검색 결과에 노출될 가능성을 높여줍니다.

또한 방문자가 어떤 키워드로 유입되는지, 노출수와 클릭수는 얼마나 되는지 등 다양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어 검색 성과 분석에 유용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와 연동도 가능해 마케팅 전략 수립에 필요한 인사이트까지 얻을 수 있는 구글 SEO 필수 도구입니다.

 

구글 서치콘솔 등록은 ‘이렇게’ 합니다.

1)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 접속

구글-서치-콘솔-등록

먼저 구글 서치콘솔 사이트에 접속한 뒤,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2) 홈페이지 주소 입력

구글 서치콘솔 HTML 태그 주소 복사

소유권 확인을 위해 서치 콘솔에서 제공하는 HTML 코드를 복사해 홈페이지의 헤드 영역에 추가합니다.

 

삽입을 마쳤다면 ‘확인’ 버튼을 눌러 소유권을 검증합니다.

구글 소유권 확인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면 구글 서치콘솔에 홈페이지 등록이 완료된 것입니다.

이제 서치콘솔을 활용해 콘텐츠를 색인 등록하고, 홈페이지 관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 등록 방법

네이버-포탈

네이버 검색 등록은 구글과 방식이 비슷합니다. 구글이 서치 콘솔을 통해 사이트 노출을 도와주는 것처럼 네이버는 서치 어드바이저(Search Advisor)를 통해 홈페이지와 콘텐츠가 노출되록 지원합니다.

 

서치 어드바이저에 등록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우리나라 검색 엔진 1위 플랫폼이 바로네이버입니다.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3,659억 명에 이를 정도로 많은 사용자가 많습니다

네이버 내의 마케팅은 주로 네이버 블로그 운영이나 키워드 광고를 통해 진행되지만, 최근에는 다른 검색엔진에 등록된 웹페이지도 별도의 검색 결과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즉, 구글을 타깃으로 작성한 콘텐츠도 네이버 상단에 노출될 수 있어, 네이버를 사용하는 고객의 유입과 전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등록은 ‘이렇게’ 합니다.

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

먼저 서치 어드바이저 홈페이지에 접속한 뒤, 오른쪽 상단에 있는 ‘웹 마스터 도구’를 클릭합니다.

 

2) 홈페이지 주소 입력

네이버-사이트-등록

사이트 등록을 위해 도메인 주소를 입력합니다.

 

3) HTML 태그 주소 복사

네이버 HTML 태그 주소 복사

사이트 소유권 확인을 위해, 서치어드바이저가 제공하는 HTML 코드를 복사해 홈페이지의 헤드영역에 붙여넣습니다.

 

4) 소유권 확인

네이버 HTML 태그 주소 복사

홈페이지 헤드에 HTML 코드를 삽입했다면, 이제 소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네이버는 자동 등록을 방지하기 위해 보안코드 인증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보안코드를 입력하면 사이트 등록이 완료되고, 이후 네이버에서 홈페이지가 노출됩니다.

등록이 끝나면 서치어드바이저를 통해 검색 데이터와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혜택도 함께 누릴 수 있습니다.



빙 검색 등록 방법

마이크로-소프트-빙

마지막으로 빙(Bing) 검색 엔진 등록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빙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기본 검색 엔진으로, 최근 ChatGPT와 코파일럿 서비스를 추가되어 사용자가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빙에 홈페이지를 등록하면 어떤 점이 좋을까요?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검색엔진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의 ‘빙(Bing)’입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와 구글에 이어 검색엔진 점유율 3위를 기록하고 있죠.

점유율이 약 10%에 달할 정도로 사용자층이 탄탄하기 때문에, 빙을 통한 고객 유입과 전환율 향상도 충분히 기대할 수 있습니다.

 

빙 검색 등록은 ‘이렇게’ 합니다.

1. 빙 웹 마스터 도구에 접속

빙 웹 마스터 도구

빙 검색 등록은 ‘빙 웹마스터 도구’를 통해 진행할 수 있습니다. 

 

웹마스터 도구에 접속한 뒤, ‘시작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2. URL 주소 입력

 

빙-웹-마스터-도구

오른쪽 사이트 수동 추가란에 등록할 홈페이지의 URL 주소를 입력합니다.

 

3. 구글 서치 콘솔 연동

구글-서치-콘솔-연동

빙 웹마스터 도구는 구글 서치 콘솔과 연동이 가능합니다.

 

몇 번의 클릭만으로 구글 서치 콘솔의 데이터를 빙으로 가져올 수 있어, 구글에 노출되는 콘텐츠를 빙에서도 노출시킬 수 있습니다.

 

4. 사이트맵 등록 확인

33

마지막으로 사이트맵 등록 여부를 확인하면 됩니다.

구글 서치 콘솔과 연동해 두면 사이트맵 정보도 함께 반영되어 훨씬 더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네이버, 빙 외에도 다양한 플랫폼에 홈페이지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 이미지와 포트폴리오로 고객을 설득하는 디자인 업체라면 → 핀터레스트(Pinterest)

  • 러시아 및 동유럽 시장을 타깃으로 한다면 → 얀덱스(Yandex)

  • 중국 비즈니스를 겨냥한다면 → 바이두(Baidu)

타겟 국가에 맞는 검색 엔진과 플랫폼에 홈페이지를 등록하면, 고객을 직접 만날 수 있고 비즈니스 성사율 또한 눈에 띄게 높아질 것입니다.

구글-seo-에이전시

런케터는 고객 비즈니스 유형에 맞춰 최상의 전략을 만들고 고객 유입을 이끕니다.

비즈니스 맞춤형 구글 SEO 최적화 전략이 궁금하다면 런케터에 문의주세요.

이 양식을 작성하려면 브라우저에서 JavaScript를 활성화하십시오.